재테크 도구 30

부동산 통계 : 주간 주택/아파트매매가격 변동률 (24.04.29)

한국부동산원에서는 부동산통계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한국부동산원은 부동산의 가격 공시 및 통계 정보 관리 업무와 부동산 시장 정책 지원등을 위한 조사,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국토교통부 산하의 공기업입니다. 즉, 한국부동산원에서 나오는 통계는 국가 통계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수 많은 통계 중 주간/월간 주택 매매가격 변동률이라는 통계가 존재하는데요. 모두가 궁금해하는 아파트의 실제 '거래 가격'의 변동이기 때문에 우리는 그 트랜드를 잘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주에 발표되었던 주간 통계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주간 주택매매가격 변동률(전국, 24.04.29기준)주간 주택매매가격 변동률은 전체적으로 미미한 증감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변동률 수준에 따라 색깔을..

미국주식 ETF 소개 : UPRO

오늘은 저의 계좌에서 유일하게(!) 수익중인 미국주식 ETF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소개드릴 ETF의 Ticker는 바로 'UPRO' 입니다. 1. UPRO 란?미국 주식 ETF 인 UPRO (UltraPro S&P 500ETF)는 S&P500 지수의 3배를 추적하는 목표를 가진 ETF입니다. 한편 S&P 500 은 미국 주식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수 중 하나로, 대형 회사들의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KOSPI로 예를 들면 KOSPI 200과 같은 포지션이라고 보면 됩니다. UPRO의 목표는 일일 투자 결과가 S&P 500 지수의 3배를 추종하게 됩니다. 즉 S&P 지수가 1% 상승한다면 UPRO는 대략적으로 3%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이죠. 이전에 소개드렸던 TMF, TSLL..

재태크 마인드 : 인플레이션을 대처하는 나의 자세

요즘 밖에서 장을 보거나 외식을 하면 공통적으로 느끼실거라 생각합니다. 물가가 왜이렇게 많이 올랐을까 말이죠. 이와 같이 우리는 인플레이션을 피부로 직접 체감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뉴스에서 자주 들리는 단어,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1. 인플레이션이란?인플레이션은 경제 용어 중 하나로, 흔히 물가 상승이라고 합니다. 즉 우리 물가라고 부르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평균 가격이 오르는 현상을 의미하는데요. 동일한 양의 돈으로 더 적은 양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할 수 있게 되는 현상입니다. 직장인의 점심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예전에는 한달 20만원, 하루 만원이면 매일 순대국밥 8,000원짜리를 먹고 커피를2,000원짜리를 마실 수 있었습니다. 지금은 순대국밥이 만원이 되어버려 커피를 못마..

미국주식 ETF 소개 : TSLL

오늘은 동고동락을 함께하고 있는 미국주식 ETF 시리즈 2탄으로 종목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종목 역시 손실을 보고 있는 종목인데요. 바로 테슬라 주식의 수익을 2배 레버리지로 추종하는 ETF, TSLL 입니다. 1. TSLL 이란?TSLL은 'Direxion Daily TSLA Bull 2X Shares' ETF를 뜻하는 Ticker입니다. ※ Ticker : 주식에 부여되는 종목 코드. 과거 전보를 이용한 증권 거래 시 주식의 이름을 짧게 줄여서 보냈는데, 이를 티커(Ticker)라고 부른 데서 유래 위에서 설명한 것 처럼 테슬라 주식의 수익을 2배 추종하게 되는데요. 테슬라라는 종목의 변동성은 타 주식들에 비해 큰 편입니다. 그런 테슬라 주식의 수익을 2배 추종한다고 하니, 변동성이 엄청 클 것이..

미국주식 ETF 소개 : TMF

오늘은 작년부터 동고동락을 함께하고 있는 미국주식 ETF를 하나 소개하고자 합니다. 사실 글을 쓰는 지금 이 순간도 아픈 손가락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바로 장기 미국 국채의 일일 수익을 3배 레버리지로 추종하는 ETF, TMF 입니다. 1. TMF 란?TMF는 트리플 레버리지 트레져리채의 일일 수익을 증폭시키기 위해 설계된 레버리지 지수 펀드인 Direxion Daily 20+ Year Treasury Bull 3X Shares ETF의 약자입니다. Direxion이라는 레버리지 및 역 레버리지 ETF의 선두 제공업체가 관리하는 TMF는 장기 미국 국채의 일일 수익을 세 배로 증폭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한편 채권의 수익은 금리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데요. 경제학 원론 책을 보게 되면 채권의 가..

'줍줍'이라는 신문기사 제목, 그대로 믿어도 될까? (더샾 둔촌포레 무순위)

강동구 둔촌동에 위치한 '더샾 둔촌포레' 무순위 청약에 대한 경쟁률이 나오는 날이었습니다. 2024.4.22(월) '더샾 둔촌포레'의 14가구에 대한 무순위 청약이 진행되었었는데요. 해당 청약건은 본 청약 때 평균 경쟁률 65.3:1이라는 경쟁률을 보였던 인기 청약 단지였습니다. 근데 실제 본계약에 들어갔을 때 26세대 모집이었던 84A에서 14세대가 계약에 실패하였습니다. 1. 무순위 물량에 대한 궁금증해당 무순위 물량을 보았을 때 생겼던 가장 큰 의문점은 왜 본계약으로 이어지지 못했을까? 였습니다. 1) 묻지마 청약 후 실제 자금 조달등을 고려하였을 때 무리가 있었나? (후분양 단지였습니다) 2) 실제 분석해보니 분양가 수준이 적정가보다 높았나? 3) 당첨되고 임장을 가보니 주변 환경이 별로였나? 4..

청약 정보 : 마포자이힐스테이트 라첼스

여러분들은 마포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이신가요? 부동산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마용성의 마'가 떠오르실 것입니다. 강북의 주요 입지를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마포에서 조만간 청약이 나올 예정입니다. 아래서 주요 정보들을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1. 청약 대상 단지 : 마포자이힐스테이트 라첼스오늘 말씀드릴 단지의 이름은 마포자이힐스테이트 라첼스입니다. 아파트명을 보면 생각외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요. 일단 '마포'라고 붙은 것을 보니 마포에 위치한 아파트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자이-힐스테이트 임을 보니 GS건설과 현대건설에서 컨소시엄을 이루어 시공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라첼스라는 이름은 주변 단지와 차별화 된 이름을 넣은 것으로 보이는데 찾아보니 '더 높은 곳'이라는 뜻이라고 ..

생애 최초 특별공급 예비번호 청약 당첨 후기(2)

앞서 작성한 [생애 최초 특별공급 청약 당첨 후기(1)] 글에 이어서 후기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 [생애 최초 특별공급 예비번호 청약 당첨 후기(1)] 👇 https://the-titan.tistory.com/entry/%EC%83%9D%EC%95%A0-%EC%B5%9C%EC%B4%88-%ED%8A%B9%EB%B3%84%EA%B3%B5%EA%B8%89-%EC%B2%AD%EC%95%BD-%EB%8B%B9%EC%B2%A8-%ED%9B%84%EA%B8%B01 생애 최초 특별공급 청약 당첨 후기(1)서론 뉴스 경제탭을 들어가보면 항상 올라오는 기사 중 하나는 청약입니다. 물론 기사를 들어가서 보면 건설사들의 광고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긴 하지만, 그만큼 청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the-titan.tist..

생애 최초 특별공급 예비번호 청약 당첨 후기(1)

서론뉴스 경제탭을 들어가보면 항상 올라오는 기사 중 하나는 청약입니다. 물론 기사를 들어가서 보면 건설사들의 광고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긴 하지만, 그만큼 청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많다는 반증이기도 할 것 이라 생각합니다. 이번주중에 진행되었던 무순위 청약-감일 푸르지오 마크베르의 경쟁률은 무려 30만대 1이었습니다. 청약을 통해 얻는 이득이 확실하다면 몇십만대 1의 경쟁률은 당연한 결과이겠지요. 모두들 청약을 눈여겨 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참고) 감일 푸르지오 마크베르 관련 기사 https://www.inews24.com/view/1706294 '감일 푸르지오 마크베르' 2채 무순위 청약에 57만명 몰렸다전용 84㎡ '줍줍' 물량 4억 시세 차익 기대에…당첨자 12일 발표 약 4억원의 시..

[재테크] 재테크(財tech)란? 재테크에 대한 결심

직장인이 두 명 이상 모이면 꼭 나오는 대화 주제. 바로 재테크이다. 재테크의 사전적 정의는 아래와 같다. '보유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최대 이익을 창출하는 방법' 이라는 포괄적인 의미로 쓰인다. 알다시피 최근 물가가 올라가는 속도를 임금 및 이자가 따라잡기 힘든 구조로 되어있다. (물가상승률 > 임금상승률, 저축이자) 동일한 소비수준을 유지한다고 가정할 때 가만히 있으면 점점 가난해지는 구조다. 그래서 시간이 지날 수록, 보유 자금이 커질수록, 재테크를 하는 사람과 안 하는 사람의 격차는 점점 더 커지게 된다. 세상 어느 누구가 가난해지는걸 원하는 사람이 있을까? 보유 자금을 더 늘리기 위해, 그 보유 자금을 이용하여 최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조금이라도 노력을 한다면 시간이 흐른 뒤 조금이라도 ..

반응형